
먹물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,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자료형을 어떤 것을 쓸지 선택하는 것이 성능, 저장소 효율성 등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느꼈습니다. 이를 계기로 데이터베이스 자료형에 대해서 알아보자는 목표를 갖게 되어 해당 내용을 정리하게 되었습니다. 데이터베이스 자료형자료형(Data type)은 데이터베이스에서 각 필드에 저장할 데이터의 속성을 정의하는 요소이다. 올바른 자료형을 선택해야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고, 저장 공간을 최적화하며, 쿼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자료형을 정할 때 꼭 유의해야 한다. 데이터베이스마다 자료형은 약간씩 차이가 있다. 일단 MySQL을 기반으로 자료형에 대해서 살펴보겠다. (1) 숫자형(Numeric)정수형: INT, BIGINT, MEDIUMINT, SMALLI..

Primary Key ?PK (Primary Key)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각 행(row)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열(column)이다.PK는 효율적인 데이터 검색, 외래 키 참조, 데이터 무결성 보장을 위해 사용된다. PK 길이가 길어질 때의 문제점은 무엇일까?저장 공간 증가: 긴 PK는 테이블의 저장 공간을 늘리고, 외래 키로 참조되는 테이블에도 영향을 미친다.인덱스 크기 증가로 인한 검색 성능 저하: PK는 기본적으로 인덱스로 관리되며, 길이가 길수록 인덱스 크기가 증가하고 검색 속도가 느려진다.외래 키 테이블의 추가 비용: 외래 키가 긴 PK를 참조할 때, 외래 키 테이블도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. PK 길이가 길어질 때 인덱스 크기 증가로 인한 검색 성능 저하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겠다..

안녕하세요! 항상 나아가는 개발자 pink_salt 핑솔입니다! 코드프레소 Java 웹 개발 체험단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. 이번엔 '처음 시작하는 SQL 프로그래밍'강의를 듣고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여 포스팅을 진행하겠습니다. 웹서비스 개발을 진행할 때 필수적인 요소가 바로 데이터베이스 입니다. 왜냐하면 웹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데이터이기 때문입니다. 쇼핑몰에서 좋아요를 누르고, 장바구니에 넣고 등등 모든 활동들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있는 데이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. 그래서 이번엔 데이터베이스와 SQL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! 데이터베이스란 무엇인가? 데이터는 다양한 방법으로 관리가 가능합니다.(파일, 엑셀 등) 여러 사람이 공유하여 사용할 목적으로, 통합하여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을 말합..